결국 백기투항(?)하고 공유기 암호키 풀어버린 다음에 MAC 인증으로 대체..
손님이나 동생부부 오면 그때마다 MAC 추가해줘야 하는 귀찮음이 있겠지만, 뭐 자주 있는 일은 아니겠죠..
요즘 프린터는 이렇게 전혀 여백 없이 인쇄가 가능하군요. 깜놀.
일반용지에 표준인쇄는 여전히 좀 떠서 나오지만
포토광택용지에 고품질인쇄는 아주 준수한 결과가 됩니다. 색조는 약간 차이가 있지만..
사진으로 찍으면 모니터쪽은 빛이 나는 물건이니까 명암차가 커 보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근접해있는 정도.
네트워크 스캔도 잘 됩니다. 만족!
캐논에서 내놓은 안드로이드용 에어프린트 앱으로도 괜찮게 됩니다.. 앱 자체가 사진폴더를 모조리 긁어 보여주는 바람에 효율성이 바닥을 쳐서 그렇지.
손님이나 동생부부 오면 그때마다 MAC 추가해줘야 하는 귀찮음이 있겠지만, 뭐 자주 있는 일은 아니겠죠..



사진으로 찍으면 모니터쪽은 빛이 나는 물건이니까 명암차가 커 보이지만 실제로는 거의 근접해있는 정도.

캐논에서 내놓은 안드로이드용 에어프린트 앱으로도 괜찮게 됩니다.. 앱 자체가 사진폴더를 모조리 긁어 보여주는 바람에 효율성이 바닥을 쳐서 그렇지.
at 2013/10/17 04:18
덧글
간간히 들러보긴 했는데 요즘은 시간 관계상 취미생활을 그다지 못하다보니...
그건 그렇고 어쩌다 왔더니 캐논 무선 프린터 얘기가 있군요. 전 MG5320 모델을 쓰는데 무선 기능 덕분에 참 잘 쓰고 있습니다만...
아래 글을 보니 공유기에 암호가 걸려있으니 안 된다는 얘길 쓰셨던데 혹시 처음에 컴에 연결해서 설정을 하셨나 모르겠습니다.
자체 기능으로는 공유기에 연결 가능한 기능에 제한이 있다보니 처음에는 컴에 연결해서 설정 등을 해 주셔야 하는데 그때 연결 네트워크 및 암호 설정 등이 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.
저는 공유기에 암호 걸어놓고도 잘 쓰고 있고 물론 스맛폰에서 (아이폰 및 안드로이드) 무선 출력도 잘 하고 있구요. 한 번 확인해 보시는 게 어떨까 싶기도 합니다.
인터넷에서 찾아본 것도 WPS 설정만 하면 된다고 하는데.. 원가절감때문이라지만 너무 사용정보가 부족하네요.
제가 아는 분 댁에 가서 무선 프린터를 설치해드린 적이 있었는데, 그것도 프린터 자체 기능으로는 WPS 밖엔 없더라구요... 그리고 공유기에선 이거 지원 안 하구요.
결국 놋북에 USB 케이블로 연결하고 드라이버 설치하다보니 중간에 유선 쓸래 무선 쓸래 나오고, 무선 쓴다고 하니 SSID 고르고 WEP 암호 치라고 하는 부분이 나오더군요.
이걸로 한 번 설정해주니 그 다음부터는 케이블 빼버리고 아무데나 놔도 잘 돌아가더군요.
,,,근데 막상 제 프린터는 어떻게 했는지 잘 기억이 안 납니다 (...)